총 218건 중 218건 출력
, 16/22 페이지
-
151
-
韓国の高校・大学の日本語教育テキスト における「わけだ」の分析
-
송수진;
인하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22,
pp.93-108)
-
152
-
추사 김정희의 교육 사상 검토
-
송수진;
경북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0,
pp.103-129)
-
153
-
아동복지법과 성폭력특별법의 관점에서 본 성폭력 피해아동의 권리보호 문제
-
송수진;
숙명여자대학교;
(사회법연구,
v.0,
2004,
pp.239-278)
-
154
-
조선 시대 유교 지식인들의 회초리(체벌) 사용과 그 의미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민족문화,
v.66,
2024,
pp.75-106)
-
155
-
The Effect of Strategic Disconformity on Restaurant Firms' Performance: Moderating Role of Top Executives Functional Background
-
송수진;
동의대학교;
(MICE관광연구,
v.23,
2023,
pp.201-221)
-
156
-
조선 중기 율곡 이이의 사(士) 이해: 사인(士人)에서 진유(眞儒)로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교육사상연구,
v.36,
2022,
pp.83-107)
-
157
-
우계 성혼(成渾, 1535∼1598)의 자성적(自省的) 삶과 자기 완성의 공부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한국학논집,
v.0,
2022,
pp.5-36)
-
158
-
근대 전환기 평민 지규식池圭植(1851~?)의 교육 인식과 실천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415-446)
-
159
-
조선 전기 부형(父兄)의 위상과 교육적 책무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3,
pp.331-357)
-
160
-
호락논쟁(湖洛論爭)의 교육적 함의
-
송수진;
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;
(교육철학,
v.43,
2025,
pp.25-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