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16/100 페이지
-
151
-
이항로의 주리론적 성리학 특징 고찰
-
안유경;
경북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22,
pp.107-138)
-
152
-
조선 성리학의 신체관 - 퇴계ㆍ율곡의 신체관 중심으로
-
엄정식;
;
(한국체육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,
v.9,
2000,
pp.29-36)
-
153
-
旅軒 張顯光의 교육관 탐구 — 성리학적 본질의 심화 —
-
신창호;
고려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08,
pp.31-56)
-
154
-
고려 후기 성리학 수용과 질병 대처 양상의 변화
-
강도현;
서울시립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1,
2009,
pp.139-169)
-
155
-
Spiritual Education of the Choseon Neo-Confucianism : Around the Approaches Proposed by Toegye, Yulgok, and Myongjae
-
Sin, Dongeui;
;
(동서비교문학저널 = The Journal of East-West comparative literature,
v.43,
2018,
pp.75-104)
-
156
-
정조의 성리학 이해와 정치철학의 유기적 관계
-
김유곤;
전북대학교;
(유학연구,
v.48,
2019,
pp.57-80)
-
157
-
박흥식 교수의 <이갈암 성리학의 조선유학사적 의의>에 대한 논평
-
최재목;
;
(철학논총,
v.12,
1996,
pp.29-34)
-
158
-
성리학의 선악관와이-와이(y-Y)의 사고 양태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7,
pp.287-324)
-
159
-
Chaste Women : Popularization of Neo-Confucianism and Women’s Desire for Winning Confucian Virtue in the Late Joseon Dynasty
-
Soh, Jeanhyoung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54,
2020,
pp.29-48)
-
160
-
성리학적 가치관의 확산과 여성
-
김현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4,
pp.455-4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