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5건 중 315건 출력
, 16/32 페이지
-
151
-
카트린느 데 메디시의 궁정발레와 정치적 기능
-
박경숙;
광주여자대학교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63,
2010,
pp.47-67)
-
152
-
『吾妻鏡』에 보이는 ‘武威’의 諸相
-
남기학;
한림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2,
pp.119-148)
-
153.
- 한국과 인도네시아 궁중 무용의 구조적 유사성 연구 : 교차 문화적 관점의 비교를 통하여
- 정강우
-
성균관대학교, 국내박사,
220, 2006
-
154.
- 검무(劍舞)의 표현양태에 나타난 차별적 요인 : 궁중검무와 통영검무를 중심으로
- 김민정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8, 2024
-
155
-
古代 中國 士人의 史評과 引詩
-
이성원;
전남대학교;
(중국학보,
v.0,
2010,
pp.273-305)
-
156.
- 한·중 학춤의 양식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 연구 : 한국 동래학춤과 중국 삼조학춤을 중심으로
- 러단
-
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19, 2022
-
157
-
‘향토’의 상상과 재현 - 1930년대 무용가 최승희와 식민지 대만의 두 차례 만남
-
서승임;
국립대만대학 음악학연구소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137-161)
-
158.
- 장자의 예술정신 : 유(遊)를 중심으로
- 탁양현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63장, 2008
-
159
-
북한무용의 현황과 대집단체조와리랑’
-
황경숙;
남서울대학교;
(움직임의 철학 : 한국체육철학회지,
v.16,
2008,
pp.215-227)
-
160
-
냉전 주체성과 자서전: 조택원 『가사호접』의 제삼자성
-
김성희;
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489-5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