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16/21 페이지
-
151.
- 鄭道傳(1342~1398)의 異端論 硏究 : '心氣理篇' '佛氏雜辨'을 중심으로
- 이현경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3 p., 2011
-
152
-
여말 선초 절의파(節義派)의 고민 - 출사(出仕)와 은둔(隱遁)의 기로
-
신복룡;
;
(한국정치외교사논총,
v.32,
2010,
pp.5-40)
-
153
-
조선 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『자치통감강목』 書法의 영향
-
김남일;
남한산성 만해기념관 학예사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4,
pp.141-177)
-
154
-
⟨상대별곡(霜臺別曲)⟩의 주제와 의미
-
김명준;
한림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3,
pp.191-226)
-
155
-
고려시대 변새시(邊塞詩)의 전개 양상과 문학적 특질
-
하정승;
안동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30,
2022,
pp.181-224)
-
156.
- 麗末鮮初 士大夫의 佛敎認識과 승려와의 交遊
- 정채린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60p., 2022
-
157.
- 朝鮮文人의 文天祥 認識과 『集杜詩』 受容
- 전연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3
-
158
-
야은 길재의 행적과 찬영시(讚詠詩)에 나타난 평가
-
어강석;
충북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31,
2023,
pp.29-62)
-
159
-
15~16세기 사헌부 계회시(契會詩)와 「상대별곡(霜臺別曲)」의 상보성 연구
-
최진경;
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;
(동방한문학,
v.0,
2025,
pp.7-40)
-
160
-
朝鮮初期의 정치적 변화와 士林派의 등장
-
Kim, Hoon-sik;
;
(韓國學論集,
v.45,
2011,
pp.25-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