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16/17 페이지
-
151
-
영화 원작으로서의 한국소설 - 2000년 이후 한국소설의 영화화 동향을 중심으로
-
박유희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2,
2006,
pp.105-129)
-
152.
- 소설『우리들의 행복한 시간』과 영화 <우리들의 행복한 시간>의 비교 연구
- 주정
-
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6 p., 2013
-
153.
- 영상언어와 시적언어의 비교 연구 : 자작 영화평론 <마리아 브라운의 결혼>외 7편을 중심으로
- 신귀백
-
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, 국내석사,
9, 63p., 2013
-
154
-
1990년대 장편 후일담의 부상과 죽음—사랑의 배치들
-
문예지;
서울대학교;
(상허학보,
v.72,
2024,
pp.135-167)
-
155.
- 후일담 문학과 상속의 정치 : 1990년대 한국문학의 재편에 관한 연구
- 김혜선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13, 2025
-
156
-
후일담 소설의 젠더 지평
-
이채원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191-226)
-
157.
- 한국 현대 여성 소설을 통해 본 여성적 정체의식의 변화 연구 : -『휘청거리는 오후』, 『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』, 『달콤한 나의 도시』를 중심으로-
- 김이진
-
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0 p., 2012
-
158
-
한국현대소설의 중국어번역현황 및 독자수용양상 고찰 –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
-
최은정;
계명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43,
2016,
pp.429-457)
-
159
-
사법적 인권침해와 문학적 재심: 서사적 장치로서의 ‘초점화자’를 중심으로
-
김경민;
대구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7,
2017,
pp.273-306)
-
160.
- 성적 응시의 재매개 : 소설과 영화 <우리들의 행복한 시간>을 중심으로
- 홍수정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14 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