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Literature Modern --History and criticism]
총 1,374건 중 1,000건 출력
, 15/100 페이지
-
141.
- (A) study on Kim Jeong-Jin's Drama
- 한을희
-
朝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, 57p., 1993
-
142
-
‘작가(作家)’ 관련 개념의 변용 양상과 ‘작가론(作家論)’의 형성 과정 - 1910년대~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-
-
강용훈;
한림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0,
2013,
pp.207-238)
-
143
-
Canonical Reappropriation of Samuel Johnson's Literary Criticism : Toward the Critical Wisdom for the 21st century
-
정정호;
중앙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1,
pp.345-370)
-
144
-
P A U T K I N A. A. OT KNIZHNOSTI K LITERATURE (IZ LEKCIY I NABLYUDENIY): SBORNIK STATEY (RUSSIAN LITERATURE, FROM MEDIAEVAL TO MODERN (LECTURES AND OBSERVATIONS): COLLECTED PAPERS). MOSCOW, 2020. — 240 p.
-
Trakhtenberg Lev;
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, Moscow, Russia;
(VESTN. MOSCOW. UN-TA. SER. 9. PHILOLOGY. 2022. NO. 6. 1-240.,
v.,
2023,
pp.224-227)
-
145
-
긍정적 정체성으로서의 근대문학 서술과 근대성의 재의미화 - 1960년대~70년대 초반 문학비평에서의 전통과 근대성 -
-
노지승;
경남대학교;
(우리말글,
v.54,
2012,
pp.221-265)
-
146
-
최서해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
-
홍기돈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8,
2008,
pp.427-443)
-
147
-
張承志論
-
조혜영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08,
2008,
pp.115-142)
-
148
-
한국 근대 문학사 연구의 형성 과정 -당대(當代) 문학을 규정하는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-
-
강용훈;
한림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4,
pp.123-153)
-
149
-
1950년대 실존주의 비평과 신인간론 연구
-
이평전;
;
(人文硏究,
v.65,
2012,
pp.311-334)
-
150
-
『천일야화』의 세계문학적 위상과 현대아랍학에 끼친 영향
-
장세원;
단국대학교;
(중동문제연구,
v.11,
2012,
pp.123-1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