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15/100 페이지
-
141
-
축제의 시간과 물의 시간 - 한국 현대시의 일상성 고찰
-
조혜진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,
2007,
pp.9-31)
-
142.
- 한국어 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비유 교육 방안 연구
- 박환옥
-
세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7
-
143.
- 현대시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
- 류현정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, 69 p., 2015
-
144
-
A Study of Learner’s Response Patterns in Modern Korean Poetry - With a focus on reader-response theory -
-
Xing , Piao;
;
(한국언어문화학 =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,
v.14,
2017,
pp.197-219)
-
145
-
A Study of Chinese Advanced Learners’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Poetry through Transition Activities for Metaphorical Expression
-
Yu, Yang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103,
2024,
pp.469-500)
-
146.
-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전통지향성 연구
- 김석준
-
서울대학교, 국내박사,
iii, 162 p., 2005
-
147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새 이미지 연구
-
음영철;
삼육대학교;
(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,
v.2015,
2015,
pp.403-404)
-
148.
- 한국 현대시의 해체적 양상 연구
- 권경아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8 p., 2002
-
149
-
러시아에서의 한국 현대시 소개 과정 연구 ― 2000년에서 2020년까지를 중심으로
-
한승희;
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22,
pp.207-236)
-
150
-
A Study on the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he Multicultural Age - Focusing on 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shown in Ha Jong-o’s Poetry -
-
Kim, Jeong-Shin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84,
2019,
pp.183-2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