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583건 중 1,000건 출력
, 15/100 페이지
-
141
-
Aspect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of Women in the Mid-Joseon Dynasty Seen through Miam-ilgi
-
Kim, Girim;
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5,
2023,
pp.565-577)
-
142
-
The Operation of Palace Treasury (Naesusa, 內需司) and Arguments about Public and Private Matters (公私) in the Middle Choson Period
-
Yi, In-bok;
;
(歷史 敎育 論集,
v.70,
2019,
pp.173-207)
-
143
-
'도문대작(屠門大嚼)'을 통해 본 조선중기 지역별 산출 식품과 향토음식
-
차경희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18,
2003,
pp.379-395)
-
144
-
朝鮮中期 傳統婚禮의 理論的 展開
-
서정화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4,
pp.203-236)
-
145
-
녹봉정사와 조선중기 낙중학의 전개
-
홍원식;
계명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0,
pp.133-153)
-
146.
- 朝鮮朝 中期以後의 山水畵 感想敎育
- 김태연
-
誠信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ⅳ, 69p., 2004
-
147
-
The Yangban’s Perception of the Ideal Economic Life During the Mid-Chosŏn Era
-
이욱;
;
(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1,
2007,
pp.117-150)
-
148
-
조선중기 文風의 변화와 科文
-
안세현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1,
pp.225-254)
-
149
-
abstract
-
유, 요문;
;
(고전과 해석 = Comments on the Korean classical texts,
v.34,
2021,
pp.191-196)
-
150.
- 조선조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: 조선 중기를 중심으로
- 남정은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0 p., 20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