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6건 중 296건 출력
, 15/30 페이지
-
141
-
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사의 언어적 스캐폴딩 분석 연구
-
전병운;
남윤석;
권회연;
공주대학교;
위덕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3,
2007,
pp.373-403)
-
142
-
한국판 DIAL-3의 민감도와 명확도, 동의지표
-
조광순;
전병운;
이준석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1,
2005,
pp.25-46)
-
143
-
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-대전, 충남지역의 특수학교를 중심으로-
-
전병운;
임해주;
김경민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 박사과정;
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;
(지적장애연구,
v.16,
2014,
pp.203-225)
-
144
-
정신지체아동의 읽기이해 연구 동향
-
임해주;
정은혜;
전병운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지적장애연구,
v.14,
2012,
pp.37-64)
-
145
-
언어경험 접근법을 활용한 내러티브 도식화(narrative mapping)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초고쓰기 능력 및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
-
김지영;
전병운;
권회연;
장평초등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5,
2009,
pp.279-309)
-
146
-
통합교육 유형에 따른 장애유아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
-
황도순;
전병운;
오혜정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영동대학교;
(지적장애연구,
v.8,
2006,
pp.27-49)
-
147
-
ADHD 아동과 일반아동 간 읽기특성 비교
-
권회연;
전병운;
오혜정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영동대학교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6,
2010,
pp.165-183)
-
148
-
특수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교수매체 활용실태와 스마트러닝 교수매체에 대한 인식 조사
-
고진복;
양지현;
전병운;
대전성세재활학교;
제천청암학교;
공주대학교;
(재활복지,
v.17,
2013,
pp.205-233)
-
149
-
보완-대체의사소통체계의 적용이 비구어 정신지체 아동의 발성에 미치는 효과
-
전병운;
이미애;
권회연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재활복지,
v.12,
2008,
pp.46-62)
-
150
-
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진단·평가연계 활동중심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
-
김영희;
전병운;
조광순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언어치료연구,
v.14,
2005,
pp.97-1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