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0건 중 200건 출력
, 15/20 페이지
-
141
-
세습무의 학습 체계와 굿의 변화
-
윤동환;
국립민속박물관;
(한국무속학,
v.0,
2000,
pp.133-158)
-
142
-
무당굿놀이의 연행방식과 특징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19,
pp.193-224)
-
143
-
『무당내력』 류에 나타난 서울굿상과 지화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무형유산,
v.0,
2017,
pp.161-186)
-
144
-
동해안 무속에서 광인굿의 위상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;
(한국민속학,
v.67,
2018,
pp.147-170)
-
145
-
성주굿의 지역적 양상과 특징
-
윤동환;
전북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22,
pp.191-210)
-
146
-
동해안 화랭이 송동숙의 삶과 예술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한국무속학,
v.0,
2018,
pp.91-112)
-
147
-
신중신탈놀이 연구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20,
pp.163-192)
-
148
-
안정사 농사놀이의 무형유산적 가치 -안정사 농사놀이와 강원농악 농사풀이의 비교-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무형유산학,
v.7,
2022,
pp.83-110)
-
149
-
전통의 복원과 재현 - 1960~1970년대 강릉단오굿을 중심으로 -
-
윤동환;
경상국립대학교;
(무형유산학,
v.10,
2025,
pp.7-32)
-
150
-
최길성과 한국무속 연구 -『한국무속의 연구』를 중심으로-
-
윤동환;
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한국민속학,
v.78,
2023,
pp.95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