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15/74 페이지
-
141
-
조상제사의 의미와 기억의 의례화儀禮化
-
Wook Lee,;
;
(국학연구,
v.19,
2011,
pp.473-501)
-
142
-
조선초기 예악 정비와 『국조오례의』 간행
-
강제훈;
고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24,
pp.241-277)
-
143
-
한·중·일 정월 세시의례의 종교적 성격과 구조
-
김덕묵;
한국민속기록보존소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6,
2023,
pp.110-130)
-
144.
- 社稷祭禮의 韓國的 展開 硏究
- 이은용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80 p., 2020
-
145.
- 선진유교 천관과 기독교 구약시대 신관 비교 연구 : 유교의 오경과 기독교의 오경을 중심으로
- 김영호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91 p., 2016
-
146
-
조선 15~17세기 수륙재(水陸齋)에 대한 유신(儒臣)의 기록과 시각 매체
-
정명희;
국립중앙박물관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3,
2020,
pp.184-203)
-
147
-
明治初 ‘創建神社’ 건립의 의미와 傳統
-
박수철;
;
(민주주의와 인권 =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,
v.10,
2010,
pp.321-348)
-
148
-
초례(醮禮)의 종교적 의미
-
이희재;
광주대학교;
(종교교육학연구,
v.12,
2001,
pp.329-345)
-
149.
- 조선초기 보편적 즉위의례의 추구 : 嗣位
- 이현욱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52 p., 2014
-
150
-
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 해석 :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무속을 중심으로
-
최진아;
한양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21,
pp.233-2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