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15/21 페이지
-
141.
- 이황 철학의 리 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: 理發, 理動, 理到說을 중심으로 : Focusing on the theory of Libal(理發), Lidong(理動), Lido(理到)
- 김상현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57 p., 2014
-
142
-
고려말 불교계의 단월과 사회적 연결망 연구
-
김인호;
광운대학교;
(학림,
v.44,
2019,
pp.79-112)
-
143
-
이퇴계와 유교적 민본주의
-
이노우에 아쯔시;
시마네현립대학;
(퇴계학논집,
v.0,
2011,
pp.207-238)
-
144
-
槐潭 裵相說의 『中庸』 分節說
-
최석기;
경상대학교;
(漢文學報,
v.26,
2012,
pp.301-333)
-
145.
- 都心 歷史文化 散策路의 文學的 觀點에서의 場所性 考察
- 김선화
-
상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22 p., 2012
-
146.
- 태재 유방선의 연작시 연구 : 두보 연작시의 수용을 중심으로
- 손지수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5 p., 2017
-
147
-
조선초 소외형 관료 문인의 문학 경향 - 泰齋 柳方善論 -
-
정우락;
경북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0,
pp.197-236)
-
148
-
고려말 불교계의 단월과 사회적 연결망 연구
-
김인호;
광운대학교;
(학림,
v.44,
2019,
pp.79-112)
-
149
-
서(恕): 잔인함에 맞서서
-
이향준;
전남대학교;
(범한철학,
v.65,
2012,
pp.2-29)
-
150
-
권채(權採)의 『작성도론(作聖圖論)』의 게임적 특성과 인성교육적 함의
-
안승우;
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187-2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