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4건 중 924건 출력
, 14/93 페이지
-
131
-
고려와 조선시대의 의학발전 단계 시론― 의서를 중심으로 ―
-
이경록;
연세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9,
pp.1-43)
-
132
-
일제강점기 조선식 및 학동식(學童食) 조사 연구에 관한 고찰 -의학대학 연구진의 활동을 중심으로-
-
한현정;
창신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37,
2023,
pp.213-246)
-
133
-
‘朝鮮秘傳’ 干牛丸을 통해본 朝日醫學교류의 일면
-
서한석;
단국대학교;
(漢文學報,
v.24,
2011,
pp.315-343)
-
134
-
의안(醫案)으로 살펴보는 조선후기의 의학 - 실행과정에서 보이는 의학지식에 대한 태도와 행위를 중심으로
-
이기복;
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4,
2012,
pp.429-459)
-
135.
- 『鄕藥集成方』의 本草 분석을 통한 朝鮮前期 鄕藥醫學 연구 : 「鄕藥本草」 및 「傷寒門」을 중심으로
- 강연석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9 p., 2003
-
136
-
결핵의 재구성: 질병분류의 정치와 식민지 조선 한의학의 정체성
-
박승만;
가톨릭대학교;
(연세의사학,
v.20,
2017,
pp.39-63)
-
137
-
조선의보(朝鮮醫報)의 계량서지학적 분석
-
성희혜;
이혜은;
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정보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,
v.38,
2021,
pp.239-262)
-
138
-
『無寃錄』과 『欽欽新書』에 나타난 중국과 조선의 법의학 세계
-
고숙희;
중앙승가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6,
pp.147-176)
-
139.
- 韓末·日帝 初 近代的 醫學體系의 形成과 植民 支配
- 박윤재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70 p., 2002
-
140
-
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High Sensitivity C-reactive Protein(hsCRP)과 고혈압의 관련성
-
이영선;
박종;
강명근;
김기순;
류소연;
순천시 보건소;
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;
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;
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;
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;
(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= 예방의학회지,
v.38,
2005,
pp.325-3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