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6건 중 166건 출력
, 14/17 페이지
-
131
-
하이데거와 롬바흐, 그리고 칙센트미하이의 창조성 연구
-
전동진;
경원대학교 교양대학;
(대동철학,
v.0,
2008,
pp.87-107)
-
132
-
손광은 시에 표상된 ‘웃음’에 관한 연구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19,
2018,
pp.61-82)
-
133
-
용아 박용철의 ‘언어관’에 대한 연구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7,
pp.57-85)
-
134
-
오월 시학과 포에톨로지(Poetology)‘오월광주’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감성연구,
v.0,
2019,
pp.29-61)
-
135
-
‘모닥불’의 문화시학과 공동체의 현상학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7,
pp.241-263)
-
136
-
변곡의 시학- 박성룡 시의 풀잎과 이슬 그리고 행성 상상력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전남대 어문논총,
v.0,
2022,
pp.29-58)
-
137
-
백석 시의 영상 상상력 연구—「힌 바람벽이 있어」를 중심으로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1,
pp.131-157)
-
138
-
서정시의 위상적 해석 방법 -백석의 「모닥불」을 중심으로-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5,
2021,
pp.117-140)
-
139
-
김수영 시에 표상한 생활세계와 시적 주체의 객체성 - 「공자의 생활난」을 중심으로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22,
pp.247-273)
-
140
-
오월정신과 의미의 삶 -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를 통해
-
전동진;
전남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3,
2022,
pp.205-2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