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14/17 페이지
-
131
-
신라 왕경의 형성과 경관 변화의 천착, 그리고 새로운 결실 -이동주, 『신라 왕경 형성과정 연구』(경인문화사, 2019)-
-
이현태;
문화재청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21,
pp.261-272)
-
132
-
신라 月池宮의 성격과 太子宮의 위치
-
이현태;
문화재청 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추진단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20,
pp.179-222)
-
133
-
「駕洛國記」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
-
이현태;
문화재청;
(백산학보,
v.0,
2020,
pp.217-238)
-
134
-
대구 달성 유적의 정비‧활용(안)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제언
-
이현태;
국립경주박물관;
(백산학보,
v.0,
2024,
pp.297-324)
-
135
-
‘경주 동궁과 월지’의 성격을 둘러싼 논의와 쟁점
-
이현태;
국립박물관;
(선사와 고대,
v.0,
2023,
pp.245-268)
-
136
-
Delaire 방법을 이용한 구순열의 교정
-
김용하;
이현태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,
v.12,
2011,
pp.75-80)
-
137
-
러시아의 극동개발전략과 동북아시아: 한·중·일의 대러 협력 특징과 방향성을 중심으로
-
염동호;
이현태;
한신대학교;
인천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34,
2024,
pp.167-202)
-
138
-
쌍순환 구상과 14·5계획에 나타난 중국의 산업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
-
최필수;
이현태;
세종대학교;
인천대학교;
(중소연구,
v.44,
2021,
pp.151-196)
-
139
-
한국과 중국 동북지역의 경제 협력: 현황, 정책, 시사점
-
이현태;
김준영;
인천대학교;
주탄탄글로벌네트워크;
(만주연구,
v.0,
2020,
pp.97-120)
-
140
-
포스트 코로나시대 중국의 글로벌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시사점
-
이현태;
정도숙;
인천대학교;
대한무역투자공사KOTRA;
(중국지식네트워크,
v.0,
2020,
pp.183-2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