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14/19 페이지
-
131
-
19~20세기 평안도 安州 刺繡의 盛衰와 그 의미
-
김수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2,
pp.211-244)
-
132
-
高宗純宗實錄』과 『孝明天皇紀』의 편찬배경과 편찬체제 비교
-
신명호;
부경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6,
pp.45-68)
-
133
-
隆熙年間 公文書를 통해 본 慶基殿의 운영실태
-
홍성덕;
;
(인문과학연구 :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Studies in humanities,
v.29,
2011,
pp.213-245)
-
134.
- 경제줄풍류와 대전향제줄풍류의 피리 선율 연구 : 계면가락·양청·우조가락도드리를 중심으로
- 강주희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0 p., 2021
-
135
-
일제강점기 정악대회의 성격과 의미
-
이예원;
전북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1,
pp.129-169)
-
136
-
조선 왕실 태실의 세계유산 등재 대상 선정에 대한 고찰
-
이재완;
예천박물관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6,
2023,
pp.6-20)
-
137
-
한국 근대서예 연구(2) - 1910년대의 서예(1910-1918) -
-
전상모;
성균관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2,
pp.253-298)
-
138
-
퇴운 신겸의 十王圖草와 使者圖草 연구
-
이용윤;
재단법인불교문화재연구소;
(불교미술사학,
v.16,
2013,
pp.167-194)
-
139
-
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·고고학적 검토
-
심현용;
울진봉평신라비전시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5,
2012,
pp.80-99)
-
140
-
현행 낙양춘의 형성과정 재고
-
임현택;
단국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0,
2021,
pp.79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