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68건 중 1,000건 출력
, 14/100 페이지
-
131
-
조선시대 장애인 예술가의 존재양상
-
정창권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8,
2011,
pp.423-458)
-
132
-
배음렬 음악가로서의 그리제이(G?rard Grisey)의 음악적 생각에 대한 연구 - 연작곡 『음향적 공간들(Les espaces acoustiques)』을 중심으로
-
김진호;
안동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22,
2007,
pp.1-48)
-
133
-
왜 식민지조선 음악가들은 관현악단을 만들고자 했는가: 경성방송(JODK) 관현악단의 출현과 그 의의
-
조윤영;
;
(이화음악논집,
v.21,
2017,
pp.81-123)
-
134
-
논쟁하고 토론하는 북한음악계의 모습을 본다 -월간 『조선음악』(조선작곡가동맹ㆍ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, 1955∼1968)
-
천현식;
북한대학원대학교;
(남북문화예술연구,
v.0,
2014,
pp.313-319)
-
135
-
레스토랑의 雰圍氣(背景音樂)가 利用客의 態度와 行動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
-
鄭益遵;
;
(여행학연구 = Journal of travel study,
v.10,
1999,
pp.229-243)
-
136
-
1920년대 소련음악에 나타난 다양성, 대중성, 창조성 - 현대음악과 프롤레타리아음악
-
채혜연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,
2008,
pp.417-440)
-
137
-
한국 근대 여성 피아니스트 송경신(宋敬信, 1914-2010)에 대한 연구
-
장정윤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음악논집,
v.26,
2022,
pp.69-100)
-
138.
- 말러에 대한 일반적 고찰
- 박인성
-
세종대학, 국내석사,
30 p., 1983
-
139
-
옥소 권섭의 음악경험과 18세기 음악환경
-
신경숙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36,
2006,
pp.39-73)
-
140.
- 고대 이집트의 음악문화 연구
- 최개기
-
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00, 20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