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14/74 페이지
-
131
-
동북아 문명의 창조적 시원과 발전적 보전의 두 주역, 중국과 한국-종교 사상과 의례를 중심으로-
-
최준식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3,
2012,
pp.7-50)
-
132
-
고대 일본의 모가리(殯) 의례와 백제대빈(百濟大殯)
-
강은영;
전남대학교;
(청람사학,
v.36,
2022,
pp.231-273)
-
133.
- 三姓神話의 儀禮的 性格과 敎育的 意味
- 고병석
-
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6p., 2004
-
134.
- 한국 종교의 해원사상 연구 : 대순진리회를 중심으로
- 차선근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, 163 p., 2021
-
135
-
蘆沙 奇正鎭의 유교의례관
-
이희재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2,
2008,
pp.199-218)
-
136
-
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- 불천위제례를 중심으로
-
김미영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국학연구,
v.0,
2021,
pp.311-340)
-
137.
- 한국 차문화 기능의 전승에 관한 연구
- 정서경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9 p., 2012
-
138
-
쌍방향으로서의 국가와 문화 - 만주국판 전통의 창조, 1932-1938
-
한석정;
임성모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35,
2001,
pp.169-195, 240)
-
139
-
제례진설에 나타난 상징성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
-
이철영;
박채원;
동국대학교;
한성대학교;
(Industry promotion research = 산업진흥연구,
v.7,
2022,
pp.85-95)
-
140
-
서울 진오기굿의 종교적 성격과 문화적 위상
-
이용범;
한국종교문제연구소;
(한국학연구,
v.0,
2007,
pp.5-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