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14/100 페이지
-
131
-
우언과 성리학 -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0,
pp.129-168)
-
132.
-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이황과 이이의 체육사상
- 김미경
-
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82, 2012
-
133.
- 태권도 정신에 내재된 성리학적 요소 연구 : 율곡의 수양론을 중심으로
- 홍승일
-
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52 p, 2011
-
134
-
한국 유교의 종교적 성찰 - 조선후기 여성 성리학자 강정일당(姜靜一堂)을 중심으로
-
이은선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0,
2008,
pp.43-82)
-
135
-
조선 후기 사대부의 일일지침서 연구: 성리학적 공부론을 중심으로
-
정환희;
서울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7,
pp.62-94)
-
136
-
주희의 글 번역과 성리학의 발굴 - 그 힘찬 시작을 위하여
-
손영식;
;
(철학사상 = A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,
v.22,
2006,
pp.323-335)
-
137
-
실학사상을 중심으로 한 유교의 토착화 - 성리학의 계승ㆍ비판ㆍ이탈
-
최영진;
;
(儒敎 思想 硏究,
v.17,
2002,
pp.159-176)
-
138
-
포은 정몽주의 시문학에 나타난 중국체험과 성리학적 세계관
-
임종욱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12,
1989,
pp.355-373)
-
139
-
인성 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: 성리학이 학교 교육의 근간이 될 수 있는가?
-
이원희;
대구교육대학교;
(통합교육과정연구,
v.8,
2014,
pp.59-79)
-
140
-
[이 책을 말한다]아라키 겐고, 『불교와 유교 - 성리학, 유교의 옷을 입은 불교』
-
김미영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4,
2001,
pp.312-3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