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9건 중 139건 출력
, 14/14 페이지
-
131
-
도재(陶齋) 윤흔(尹昕)의 도통론(道統論) 고찰
-
황교은;
충남대학교 한자문화연구소;
(유학연구,
v.60,
2022,
pp.1-25)
-
132
-
河西 金麟厚의 <孝賦>에 대한 고찰
-
조기영;
연세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10,
pp.149-185)
-
133.
- 17세기 士林의 '廟寢制' 인식과 書院 영건
- 정기철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책 (면수복잡), 1999
-
134
-
趙性家와 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蘆沙學의 전개양상
-
김봉곤;
순천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0,
pp.1-40)
-
135
-
盧守愼의 詩世界 - 海東江西詩派의 詩論을 中心으로 -
-
조희창;
성신여자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20,
2010,
pp.7-48)
-
136
-
『국조명신록(國朝名臣錄)』의 내용과 특징
-
김범;
국사편찬위원회;
(한국문화연구,
v.12,
2007,
pp.199-244)
-
137.
- 眉巖 柳希春의 日記文學 연구
- 이연순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ⅵ, 183 p., 2009
-
138
-
조귀명(趙龜命)의 「매분구옥랑전(賣粉嫗玉娘傳)」읽기 - ‘전기(傳奇)’적 인물형과 열린 구조로서
-
문미애;
전북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473-490)
-
139.
- 譯註 敏齋遺稿 : 詩․書․雜著를 중심으로
- 나상필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38 p.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