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079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전국시대 점복의 보편화에 대한 소고— 《春秋左傳》과 전국시대 卜筮祭禱簡을 위주로
-
류원상;
정진강;
숭실대학교;
숭실대학교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21,
pp.231-255)
-
122
-
유금와당박물관 소장 중국 전국시대(戰國時代) 제(齊)와 연(燕)의 기와 제작기법에 대한 기초적 검토
-
윤용희;
국립중앙박물관;
(한국기와학보,
v.0,
2023,
pp.44-65)
-
123
-
戰國時代 秦 封君의 設置와 封邑
-
이용일;
영남대학교;
(대구사학,
v.75,
2004,
pp.189-224)
-
124
-
고조선과 전국시대 연의 국경
-
;
;
(역사와 융합,
v.0,
2018,
pp.87-126)
-
125.
- 일본근세전국시대에서 에도막부초기까지 종교와 정치와의 관계 : 칼빈의 교회와 국가관을 중심으로
- 강산명
-
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6 p., 2011
-
126
-
일본 전국시대 명장의 위기관리 리더십에 관한 현대적 함의
-
박상중;
안운호;
국방대학교;
;
(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,
v.9,
2023,
pp.113-144)
-
127
-
戰國時代 邊境의 출입자 관리와 符節
-
송진;
서울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12,
pp.1-62)
-
128
-
戰國時代 列國의 秦 入質 事例
-
이용일;
영남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3,
pp.1-32)
-
129
-
戰國時代 역사서와 기록문화의 一面 ― 楚簡 『繫年』의 주요 정보와 의미 ―
-
김석진;
단국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2,
pp.1-78)
-
130
-
春秋戰國時代 齊國과 琅邪地域의 政治的 推移
-
남영주;
경일대학교;
(동아인문학,
v.0,
2012,
pp.339-3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