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8건 중 928건 출력
, 13/93 페이지
-
121
-
[특집] 한국 근대소설 논의의 추이와 이태준
-
김재영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3,
2004,
pp.151-178)
-
122.
- 이태준 문학의 소설사적 위상
- 박헌호
-
成均館大學校, 국내박사,
218p., 1997
-
123
-
슬픈 근대화의 정경 - 이태준, 이상의 작품을 중심으로
-
장두식;
;
(국토정보,
v.177,
1996,
pp.106-110)
-
124.
-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 : <사상의 월야>를 중심으로
- 최재원
-
원광대학교, 국내석사,
37 p., 2000
-
125
-
이태준 소설의 여성/ 연애 서사와 계급ㆍ민족의 문제 - 『불사조』와 『구원의 여상』을 중심으로
-
김준현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6,
2012,
pp.327-357)
-
126
-
1930년대 이태준 소설의 특성 연구 - 현실 전유 방식을 중심으로
-
이현식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8,
2006,
pp.165-191)
-
127
-
가면을 쓴 작가들-정지용과 이태준의 고백
-
장영은;
성균관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1,
pp.461-490)
-
128
-
이태준의 〈별은 窓마다〉에 나타난 도시
-
정하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243-280)
-
129
-
퇴고와 개작-이태준의 경우-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7,
pp.253-282)
-
130
-
[이태준의 삶과 문학] 두 개의 근대성과 처사 의식 - 이태준의 작가 의식
-
서영채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,
1993,
pp.54-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