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14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주희와 이이의 붕당설과 그것에 관한 인조와 신하들의 논쟁
-
이종우;
경인교육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48,
2022,
pp.337-359)
-
122
-
Critical Review of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the Mutual Identity of Principle and Principle
-
Park, Bo-Ram;
;
(佛敎 學報,
v.100,
2022,
pp.41-67)
-
123
-
고려인삼의 주아 발달경로
-
정찬문;
임흥빈;
이이;
정열영;
전병록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KT&G 중앙연구원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(Journal of ginseng research = 高麗人參學會誌,
v.33,
2009,
pp.189-193)
-
124
-
유현(儒賢)의 교유를 통해 본 비대면 시대 인성계발 방안 - 이이, 성혼, 송익필의 삼현수간(三賢手簡)을 중심으로 -
-
이영자;
충남대학교;
(유학연구,
v.58,
2022,
pp.25-60)
-
125
-
율곡 이이의 이상적 인간론의 특징
-
김지수;
김영철;
부천대학교;
동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9,
2017,
pp.447-464)
-
126
-
이이의 기질변화론 고찰 - 장재 수양론과 대조를 중심으로
-
이현선;
서울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45,
2021,
pp.69-99)
-
127
-
구절초 꽃 추출물의 Nitric Oxide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
-
한지영;
김영화;
성지혜;
엄유리;
이이;
이준수;
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;
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;
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;
(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,
v.38,
2009,
pp.1685-1690)
-
128
-
율곡 이이의 현실인식과 경세사상
-
이재석;
영산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33,
2020,
pp.7-34)
-
129
-
박세채(朴世采, 1631∼1695)의 이이(李珥) 문집 편찬과 그 특징
-
오세현;
경상대학교;
(코기토,
v.92,
2020,
pp.177-210)
-
130
-
율곡 이이의 무실 지향적 경학관
-
김경호;
전남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0,
2009,
pp.27-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