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8건 중 378건 출력
, 13/38 페이지
-
121.
- 김원일·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고아의 형상화 연구 : 민주주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 이소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31 p., 2016
-
122
-
이야기와 소설(小說/Novel) : 이문구, 『관촌수필』론
-
장영우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20,
pp.9-44)
-
123
-
이문구 소설과 생태환경 문화콘텐츠 제안 - 『관촌수필』를 중심으로 -
-
김인경;
숭실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3,
2024,
pp.23-44)
-
124
-
이문구 소설미학과 한국 소설의 가능성
-
장영우;
동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09,
pp.517-550)
-
125.
- 1970년대 농촌 소설 연구 : 민속학적으로 바라본 관촌수필(이문구)과 분례기(방영웅)를 중심으로 비교연구
- 권리정
-
경기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52장, 2007
-
126
-
[특집논문/한국문학과 토포필리아] '토포필리아'로서의 글쓰기-이문구의 『관촌수필』 연작을 중심으로
-
신재은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0,
2003,
pp.116-133)
-
127
-
농촌의 해체와 재형성 -이문구의 『우리 동네』를 중심으로-
-
백윤경;
충남대학교;
(국어문학,
v.82,
2023,
pp.385-409)
-
128.
- 이문구의 『관촌수필』교수-학습방안 연구 : 신문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중심으로
- 김윤옥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7, 2006
-
129
-
이문구 『관촌수필』에 나타난 고향의 양상과 의미
-
용석원;
건국대학교;
(겨레어문학,
v.0,
2017,
pp.243-274)
-
130
-
‘떠남’과 ‘돌아옴’을 통한 고향의 재인식 과정 -이문구의 『관촌수필』연구-
-
강찬모;
청주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2,
2008,
pp.345-3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