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,454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배광성용기 사용이 생태녹화용 자작나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
-
강병연;
김재환;
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;
청주대학교 조경도시계획전공;
(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,
v.6,
2019,
pp.295-303)
-
122
-
첨가제로서 낙엽송의 수피 및 건조폐액이 리기다소나무 및 신갈나무 펠릿의 연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
-
양인;
채현규;
한규성;
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;
SY에너지(주);
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;
(목재공학 =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45,
2017,
pp.258-267)
-
123
-
제주산 이나무와 흰새덕이의 건조스케쥴 개발
-
강호양;
김수원;
정성호;
정두진;
박병수;
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15,
2004,
pp.1-8)
-
124
-
청계천 이팝나무 가로수 생육환경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
-
윤소원;
서울시설공단;
(環境復元綠化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,
v.11,
2008,
pp.129-138)
-
125
-
배지조건이 뽕나무 동아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영향
-
성규병;
정정박명;
김호락;
구태원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일본농업생물자원연구소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(韓國蠶絲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,
v.37,
1995,
pp.6-9)
-
126
-
식생을 이용한 방풍책이 눈잣나무 유묘에 미치는 영향
-
Lim, Hyo-In;
Chae, Seung-Beom;
Lee, Seon-Uk;
Ku, Ja-Jung;
국립산림과학원;
국립산림과학원;
설악산국립공원;
국립산림과학원;
(環境復元綠化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,
v.23,
2020,
pp.59-67)
-
127
-
기상환경이 뽕나무의 발아개엽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
-
조장호;
문재유;
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;
서울대학교 농과대학;
(韓國蠶絲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,
v.29,
1987,
pp.12-19)
-
128
-
열탕처리시간이 자귀나무 종자의 수분흡수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
-
서병수;
김선영;
박우진;
최충호;
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;
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;
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;
전북대학교 임학과 대학원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20,
2007,
pp.267-271)
-
129
-
평사리의 무딤이 들 부부소나무 외 1편
-
리강룡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9,
2013,
pp.18-19)
-
130
-
새로운 조경수 - 하얀색 포와 잎이 아름다운 층층나무속(Genus Cornus)
-
김종근;
한화 제이드가든 수목관리팀;
(조경수 = Landscaping tree,
v.141,
2014,
pp.18-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