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특집:원간섭기 유교지식인의 사상적 지형/원간섭기 『사서집주』이해와 성리학 수용
-
도현철;
;
(역사와 현실,
v.49,
2003,
pp.9-36)
-
122
-
Ori’s Confucianism integrity administration & storyteling healing
-
Lee, Jong-Su;
;
(인성교육연구 = Journal of character education & research,
v.2,
2017,
pp.1-31)
-
123
-
한재 이목의 「다부」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
-
김지현;
최송현;
이병인;
부산대학교 대학원;
부산대학교 대학원;
부산대학교 대학원;
(한국차학회지,
v.30,
2024,
pp.14-23)
-
124
-
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‘성리학과 실학의 대립 구도’ 분석
-
나종현;
서울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3,
pp.223-252)
-
125
-
율곡 성리학과 고봉 성리학 비교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5,
pp.119-153)
-
126.
- 성호 이익의 성리학 : 퇴계 이학(理學)의 비판적 계승과 서학의 수용
- 최정연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, 195 p., 2016
-
127.
- 반계 유형원의 실리의 성리학과 실학사상 연구
- 신혜연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67 p., 2021
-
128
-
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(2)
-
전수연,;
Kim Yong-Jae,;
Kim Min-Jae,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53,
2019,
pp.5-38)
-
129
-
A Study on the Change of Neo-Confucianism in Japan
-
Yuji, Hosaka;
;
(日本學硏究 =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,
v.72,
2024,
pp.7-26)
-
130
-
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성리학과의 교섭 양상
-
김종진;
동국대학교;
(漢文學報,
v.13,
2005,
pp.63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