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9건 중 139건 출력
, 13/14 페이지
-
121
-
지역축제를 이용한 지역상징의 문화적 재구성과 정체성 - 장성군 홍길동 축제를 사례로 -
-
추명희;
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;
(한국지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,
v.9,
2003,
pp.576-591)
-
122
-
穌齋 盧守愼의 佛敎認識과 禪學
-
오경후;
동국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21,
pp.67-94)
-
123
-
미암 유희춘의 가족서사와 도학의 재발견
-
김경호;
전남대학교;
(유학연구,
v.54,
2021,
pp.97-126)
-
124
-
조선시대 한시의 경관 요소에 대한 계량적 분석–‘소쇄원’과 ‘환벽당‧식영정’을 중심으로–
-
정성훈;
국립목포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7,
2024,
pp.133-162)
-
125.
- 역주(譯註)《사애집 서찰류(沙厓集 書札類)》
- 이진영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9, 2014
-
126
-
蘇齋 盧守愼의 人心道心說
-
정대환;
전북대학교;
(철학연구,
v.112,
2009,
pp.319-357)
-
127
-
16세기 호남 무등산권 원림문화
-
권수용;
;
(人文硏究,
v.55,
2008,
pp.357-398)
-
128
-
朝鮮朝 道學詩의 展開 樣相 硏究
-
양훈식;
숭실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7,
2015,
pp.65-95)
-
129
-
조선시대 문묘석전(文廟釋奠)의 쟁점과 특징
-
김현수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23,
pp.7-40)
-
130
-
河西 金麟厚의 ⟨孝賦⟩에 대한 고찰
-
조기영;
연세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0,
pp.149-1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