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13/100 페이지
-
121
-
개항장 공간의 조직과 근대성의 표상
-
김주관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9,
2006,
pp.129-157)
-
122
-
開港當時의 危機意識과 開化思想
-
韓㳓
劤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68,
1968,
pp.293-327)
-
123.
- 開港期 韓.美.韓.英 修好通商條約 比較硏究
- 성락훈
-
대구대학교, 국내석사,
49 p., 1987
-
124
-
개항-현대 서울 역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염복규;
서울시립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18,
pp.137-174)
-
125
-
개항이후 일반은행의 생성에 관한 고찰
-
장기돈;
;
(지역사회연구,
v.6,
1998,
pp.91-112)
-
126
-
英清協商の新開港塲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14,
1902,
pp.855-856)
-
127
-
開港期의 漢城內 外國人居留 經緯
-
孫禎睦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80,
1980,
pp.109-138)
-
128
-
개항후 美國 使行과 서구 수용의 추이
-
장규식;
;
(中央史論,
v.24,
2006,
pp.63-94)
-
129
-
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
-
양흥숙;
부산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2,
pp.211-249)
-
130
-
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
-
신영재;
잠신고등학교;
(한국지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,
v.19,
2013,
pp.416-4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