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4건 중 124건 출력
, 12/13 페이지
-
111
-
신정왕후 도봉 별서(‘조대비 별서’)의연원과 역사적 의미
-
이민아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8,
pp.69-101)
-
112
-
박영철본 『연암집』 미수록 연암시에 대하여-연민문고 소장 『연암집초고보유 9』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-
-
정재철;
단국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37,
2012,
pp.125-157)
-
113
-
조선후기 음악의 문화담론 탐색 - 19세기 궁중음악과 관련하여 -
-
宋 芝 媛;
서울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7,
2006,
pp.101-120)
-
114.
- 조선 후기 전통춤의 교섭양상 연구
- 김윤지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47 p., 2013
-
115.
- 조선시대 舞童服飾에 관한 연구
- 오혜경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153 p., 2006
-
116.
- 조선시대 국왕의 즉위 시 면복(冕服)에 관한 연구
- 류경국
-
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89 p., 2022
-
117.
- 조선후기 세도정치 연구: 안동 김씨가문을 중심으로
- 오수원
-
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, 국내석사,
43 장, 2013
-
118
-
장생보연지무(長生寶宴之舞)와 보살만(菩薩蠻)의 관계에 대한 고찰
-
박은옥;
호서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18,
pp.45-70)
-
119
-
세도정치기 순원왕후의 정국 인식과 정치적 입장-김흥근 일가 수신 편지내용 분석을 중심으로-
-
한보람;
대전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22,
pp.207-239)
-
120.
- 조선후기 여령정재 복식과 무구 연구
- 최윤희
-
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, 국내박사,
xvii, 289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