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55건 중 555건 출력
, 12/56 페이지
-
111
-
조지훈 시의 유랑 의식 연구
-
송기한;
대전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8,
pp.19-39)
-
112.
- 한국 현대시의 생명시학 : 조지훈, 신석정, 이상화의 작품을 중심으로
- 박종은
-
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70 p., 2010
-
113
-
조지훈 시론의 禪的 미학과 그 교육적 의미
-
김옥성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06,
pp.355-390)
-
114
-
조지훈 초기시의 운율과 구조
-
조창환;
아주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08,
pp.5-28)
-
115
-
조지훈 시에 나타난 전통미감 연구
-
한경희;
안동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7,
pp.125-147)
-
116
-
조지훈 초기시의 혼재 양상 연구
-
조춘희;
부산대학교;
(석당논총,
v.0,
2015,
pp.167-203)
-
117
-
조지훈 시의 헤테로토피아 양상 연구
-
서철원;
전북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0,
pp.125-155)
-
118
-
조지훈 시에 나타난 ‘꽃’의 의미
-
김경숙;
선문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9,
pp.137-165)
-
119
-
조선어학회 사건 전후의 조지훈
-
방민호;
서울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0,
pp.29-52)
-
120
-
조지훈(趙芝薰)의 사회비평(社會批評) -그 논설(論說)과 비평정신(批評精神)을 중심(中心)으로-
-
김종균;
;
(국어국문학,
v.76,
1977,
pp.17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