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4건 중 924건 출력
, 12/93 페이지
-
111
-
조선 후기 의학 지식 구성 및 실행 방식의 변화: 18세기 『역시만필(歷試漫筆)』을 중심으로
-
이기복;
전북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,
v.41,
2019,
pp.1-31)
-
112
-
조선후기 내의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의학 경향
-
김정선;
황상익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의사학,
v.16,
2007,
pp.150-159)
-
113
-
朝鮮初期의 醫學書 「食療纂要」에 對한 硏究
-
신승운;
성균관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08,
pp.121-151)
-
114.
- 『醫方類聚』를 통해 본 朝鮮前期 折傷醫學 : -『理傷續斷方』을 중심으로
- 김영곤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0 p., 2008
-
115
-
朝鮮中期 醫學의 系統에 關한 硏究
-
김홍균;
박찬국;
;
경희대학교;
(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,
v.5,
1991,
pp.252-305)
-
116
-
四象醫學을 통해 본 朝鮮時代 御眞 硏究
-
김민호;
고려대학교;
(미술사학,
v.27,
2013,
pp.7-37)
-
117
-
조선통신사 사행원과 기록 연구 -18세기 사행록과 의학문답 기록을 중심으로-
-
함정식;
차웅석;
유원준;
김남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한국의사학회지,
v.20,
2007,
pp.46-61)
-
118
-
조선후기 한의학에서 공정현(龔廷賢) 약성가(藥性歌)의 수용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
-
황종순;
최달영;
정한솔;
신상우;
하기태;
벽계한의원;
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;
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;
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응용의학부;
(동의생리병리학회지 = Journal of physiology & pathology in Korean Medicine,
v.24,
2010,
pp.924-934)
-
119
-
일제강점기 조선 여자 의사들의 활동 - 도쿄여자의학전문학교 졸업 4인을 중심으로
-
최은경;
서울대학교병원;
(코기토,
v.80,
2016,
pp.287-316)
-
120
-
조선조 성리학자 윤지(尹指)의 '둔옹연소천지문답(鈍翁演小天地問答)'에 나타난 의학사상 연구
-
조원준;
박완식;
한국한의학연구원;
전주대학교 한문교육학과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20,
2007,
pp.187-2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