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12/19 페이지
-
111
-
金台俊의 「鄭寅普論」을 통해 본 解放前 爲堂 鄭寅普에 대한 評價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08,
pp.83-121)
-
112
-
감통(感通)의 철학 : 위당(爲堂) 정인보(鄭寅普)의 『양명학 연론』과 F. 슐라이어마허의 『종교론』에 대한 현상학적 비교·연구
-
한상연;
가천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19,
pp.107-137)
-
113
-
이화학당 창립50주년기념 노래책 《리화의 노래》(1936)에 담긴 역사와 현실
-
김은영;
신혜승;
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연구소;
연세대학교;
(이화음악논집,
v.24,
2020,
pp.7-50)
-
114
-
댄디와 양반 - 여천 이원조 연구(1) -
-
장문석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3,
pp.285-324)
-
115.
- 1930年代 ‘朝鮮學’의 深化와 傳統의 再發見
- 채관식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62, iv장, 2006
-
116
-
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이중 언어 글쓰기 - 국학자 정인보의 한글 글쓰기와 한문 글쓰기의 관계를 중심으로
-
여희정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8,
2015,
pp.179-208)
-
117
-
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—1929년 문광서림판 『성호사설』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—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0,
pp.223-249)
-
118
-
1920∼30년대 民族文化運動과 延禧專門學校
-
김도형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3,
pp.191-227)
-
119
-
1930년대 조선학 운동가들의 ‘실’담론과 ‘실학’개념의 형성 I - 정인보의 ‘조선학’과 ‘실사구시의 학’을 중심으로 -
-
김윤경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;
(양명학,
v.0,
2022,
pp.91-128)
-
120.
- 鄭寅普의 陽明哲學硏究 : 實心論을 中心으로
- 이상호
-
啓明大學校, 국내석사,
ii,87p., 199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