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1건 중 121건 출력
, 12/13 페이지
-
111
-
아동의 자존감, 행복, 우울 증상의 상호 인과적 관계와 교육에의 시사점
-
최희철;
김영미;
이미아;
광주여자대학교;
광주여자대학교;
남부대학교;
(입법과 정책,
v.14,
2022,
pp.099-129)
-
112
-
자존감과 삶의 만족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: 비장애인, 지체장애인, 감각장애인 간 다집단 분석
-
최희철;
이미아;
김영미;
광주여자대학교;
남부대학교;
광주여자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65,
2022,
pp.227-256)
-
113
-
Digital Signage User Satisfaction Model: The Dual Effect of Technological Complexity
-
이미아;
이수연;
고은주;
서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아시아마케팅저널,
v.23,
2021,
pp.5-27)
-
114
-
목회자가 경험한 찬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
-
이미아;
조희연;
문소영;
명지대학교;
명지대학교;
명지대학교;
(신앙과 학문,
v.27,
2022,
pp.117-145)
-
115
-
소아 두부 외상 후 경련 발생 빈도와 위험요인
-
윤수;
이미아;
김황민;
차병호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,
v.47,
2004,
pp.1198-1204)
-
116
-
청각장애인의 자존감 변화궤적과 삶의 만족, 행복, 장애수용 간의 관계
-
최희철;
서유경;
이미아;
김영미;
광주여자대학교;
부산대학교;
남부대학교;
광주여자대학교;
(특수교육연구,
v.29,
2022,
pp.1-30)
-
117
-
플로리싱 척도와 긍정적 경험 및 부정적 경험 척도의 타당화: 특수교사를 중심으로
-
최희철;
김영미;
이미아;
박상희;
광주여자대학교 상담심리학과;
광주여자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남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광주여자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(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,
v.6,
2024,
pp.1-27)
-
118
-
중학생의 긍정적 정서, 학업적 자아개념,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
-
최희철;
이미아;
김영미;
강혜진;
광주여자대학교 상담심리학과;
남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광주여자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;
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;
(한국교육,
v.51,
2024,
pp.179-211)
-
119
-
장애노인의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상호인과적 관계와 잠재평균의 성별 차이
-
최희철;
서유경;
김영미;
이미아;
광주여자대학교;
부산대학교;
광주여자대학교;
남부대학교;
(장애와 고용,
v.33,
2023,
pp.111-142)
-
120
-
Th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in Agg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ADHD
-
이미아;
이재훈;
Jean Ann Summers;
남부대학교;
Univ. of Kansas;
Univ. of Kansas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6,
2010,
pp.1-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