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,454건 중 1,000건 출력
, 12/100 페이지
-
111
-
자두나무 Y자수형이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
-
이계준;
김호열;
김목종;
백봉렬;
강상조;
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19,
2001,
pp.89-89)
-
112
-
The breeding record of the Eurasian Treecreeper (Certhia familiaris) in South Korea
-
Choi, Soon-Kyoo;
Cho, Jung-Gu;
;
(한국鳥類학회지=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,
v.26,
2019,
pp.122-125)
-
113
-
배광성용기 사용이 생태녹화용 자작나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
-
강병연;
김재환;
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;
청주대학교 조경도시계획전공;
(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,
v.6,
2019,
pp.295-303)
-
114
-
CO<sub>2</sub>농도 및 온도 상승이 백합나무의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
-
이하수;
이솔지;
이재천;
김기우;
김판기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;
국립산림과학원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;
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;
(한국농림기상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,
v.15,
2013,
pp.145-152)
-
115
-
제주산 이나무와 흰새덕이의 건조스케쥴 개발
-
강호양;
김수원;
정성호;
정두진;
박병수;
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15,
2004,
pp.1-8)
-
116
-
여천공단주변 대기오염이 때죽나무의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
-
김동근;
상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(한국대기환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,
v.16,
2000,
pp.121-128)
-
117
-
배지조건이 뽕나무 동아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영향
-
성규병;
정정박명;
김호락;
구태원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일본농업생물자원연구소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농촌진흥청 잠사곤충연구소;
(韓國蠶絲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sericultural science,
v.37,
1995,
pp.6-9)
-
118
-
한국산 음나무의 Kalosaponins 함량과 이에 영향하는 몇 가지 생장요인
-
이철호;
조동광;
이갑연;
권기원;
최명석;
국립수목원 식물보존과;
국립수목원 식물보존과;
임업연구원 서부시험장;
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;
(식물생명공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,
v.29,
2002,
pp.209-215)
-
119
-
참나무 林分 土壤內 능이 外生菌根 集團의 生態的 特徵
-
金洪殷;
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91,
2002,
pp.457-464)
-
120
-
꾸지뽕나무 잎과 우슬 복합물이 MIA로 골관절염이 유도된 Rat에 미치는 영향
-
정길호;
주인환;
김동희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(동의생리병리학회지 = Journal of physiology & pathology in Korean Medicine,
v.37,
2023,
pp.56-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