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12/17 페이지
-
111
-
朝鮮初期 瀟湘八景圖의 시각적 번안과 그 표상적 의미 - 江天暮雪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06,
pp.127-158)
-
112
-
정선이 그린 정호⋅정이 고사인물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1,
pp.239-275)
-
113
-
이인성의 동양화와 그 시대성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2,
2012,
pp.87-117)
-
114
-
18세기 전반 회화의 새 경향 -정선(鄭敾) 고사인물화(故事人物畵)의 유형과 그 표상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17,
2009,
pp.219-254)
-
115
-
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侍童像의 類型과 表象 - 煎茶像을 중심으로 -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07,
pp.5-34)
-
116
-
20세기 전반 서화가의 아회와 서화합작— 우청 황성하의 작품을 중심으로 —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3,
pp.189-222)
-
117
-
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2,
pp.141-173)
-
118
-
淸陰 金尙憲의 歷史 意識 - 詩文學을 중심으로
-
송희경;
대전지족고등학교 교사;
(漢文古典硏究,
v.29,
2014,
pp.181-217)
-
119
-
청음 김상헌의 경세사상
-
송희경;
대전지족고등학교 교사;
(양명학,
v.0,
2015,
pp.253-280)
-
120
-
1970년대 국전의 인물화 - 동양화 구상부 입상작 중심으로 -
-
송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민족문화논총,
v.0,
2011,
pp.559-5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