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8건 중 128건 출력
, 12/13 페이지
-
111
-
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-상주 道南書院의 詩會를 중심으로
-
채광수;
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;
(한국서원학보,
v.0,
2021,
pp.7-48)
-
112
-
蘇軾의 流配詩에 나타난 도가적 사유
-
김희성;
동신대학교 중국어학전공 조교수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20,
pp.209-223)
-
113.
- 黃庭堅 禪意書風의 美學的 硏究
- 원숙자
-
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, 국내석사,
v, 81 p., 2021
-
114.
- 조선 중기 영산재의 양태 연구 : 금산사 『諸般文』을 중심으로
- 설동철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77 p., 2024
-
115.
- 李時憲의 『自怡先生集』 詩 譯註
- 이은진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45, 2020
-
116.
- <관동별곡>의 교과서 수록 양상과 문학교육 방향
- 김연경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05 p., 2011
-
117
-
明末淸初, '畵'에 대한 새로운 인식-석도와 양주팔괴의 회화사상을 중심으로-
-
김백균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2004,
2004,
pp.287-309)
-
118
-
蘇東坡的<和歸去來辭>硏究
-
김주순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0,
pp.139-154)
-
119
-
『霽湖詩話』에 나타난 조선중기 詩論의 특징과 비평사적 의미
-
하정승;
한림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31,
2015,
pp.123-166)
-
120
-
18,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병세의식(幷世意識)
-
정민;
;
(韓國文化,
v.54,
2011,
pp.183-2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