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12/100 페이지
-
111
-
The Acceptance of Neo-Confucianism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
-
Kang , Moonshik;
;
(역사비평 = Critical review of history,
v.122,
2018,
pp.168-194)
-
112
-
정조의 성리학적 이념과 황로정치적 모색
-
이진경;
충북대학교 우암연구소;
(도교문화연구,
v.0,
2017,
pp.265-314)
-
113.
- 조선시대 성리학의 의리사상과 교육에 관한 일연구
- 조철곤
-
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44 p, 1991
-
114
-
제주 유학자 변경붕(邊景鵬, 1756-1823)의 성리학적 인식 탐구
-
이창일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2,
pp.211-240)
-
115
-
이곡 산문의 연구 -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의 실천을 중심으로 -
-
홍성욱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,
1999,
pp.177-197)
-
116
-
성리학에서 ‘애틋함’의 자리는 어디일까
-
김재경;
조선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7,
pp.89-115)
-
117
-
정조대의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나타난 성리학의 역사성
-
정태식;
;
(사회와역사,
v.60,
2001,
pp.11-33)
-
118
-
성리학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 -『중용』의 해석에 나타난 알라야식을 중심으로-
-
권선향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1,
pp.235-264)
-
119
-
[동양 철학 다시 읽기]조선 성리학의 예 교육 심성 모델 개발
-
유권종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8,
2003,
pp.244-257)
-
120
-
정재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
-
이상호;
;
(국학연구,
v.15,
2009,
pp.55-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