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5건 중 195건 출력
, 12/20 페이지
-
111
-
문학교육과 문학 정전의 새로운 관계 맺기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8,
pp.13-38)
-
112
-
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-미래적 생애의 시공간(時空間)을 향한 문학교육의 역할-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1,
pp.5-27)
-
113
-
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0,
pp.137-158)
-
114
-
언어·문학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 모색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09,
pp.189-227)
-
115
-
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'태도' -'태도'가 국어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띠는 관점 확충하기-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2,
pp.79-106)
-
116
-
문화융성과 국어교육 정책 ― 문화융성과 국어교육의 관계 지형 모색하기 ―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4,
pp.369-400)
-
117
-
스토리텔링과 수업 기술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1,
pp.411-435)
-
118
-
독서 현상 연구와 독서 정책의 방향
-
박인기;
경인교대;
(독서연구,
v.0,
2007,
pp.9-35)
-
119
-
방송미디어의 독서교육 기능에 대한 고찰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-,
2004,
pp.89-118)
-
120
-
독서 진흥을 위한 환경과 독서정책
-
박인기;
경인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06,
pp.333-3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