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11/100 페이지
-
101.
- 번역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
- 한설옥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184, 2021
-
102
-
한국 현대시 영역(英譯)의 문제점
-
이성일;
연세대학교;
(인문과학,
v.63,
1990,
pp.121-180)
-
103.
- 한국현대시의 기독교 수용양상
- 강미경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9p., 1992
-
104.
-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춤의 의미 연구
- 이주연
-
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1 p., 2008
-
105
-
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불교문화재 고찰 - 「금동미륵반가사유상」을 중심으로
-
최동호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16,
2011,
pp.239-262)
-
106
-
한국 현대시 교육의 정서 치유적 가능성 고찰
-
진가연;
왕임창;
서울대학교;
서울대 국어교육과;
(한민족문화연구,
v.75,
2021,
pp.7-44)
-
107.
- 문학 비평 텍스트를 활용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
- 이명봉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40, 2017
-
108
-
박두진의 현실주의적 시론이 지닌 비평적 위상 -『한국현대시론』및『현대시의 이해와 체험』을 중심으로
-
고명철;
광운대 교양학부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2,
2008,
pp.37-61)
-
109
-
[특집논문/한국문학 주제화] 현대시와 나비의 시학
-
윤지영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7,
2002,
pp.30-54)
-
110
-
한국현대시를 활용한 시 치료의 이론과 실제 - 대학의 시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
-
신주철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24,
2008,
pp.227-2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