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40건 중 540건 출력
, 11/54 페이지
-
101
-
근대적 공간과 여성 인물의 운명 - 채만식 작품을 중심으로
-
이수라;
;
(國語文學,
v.37,
2002,
pp.178-202)
-
102
-
채만식의 「過渡期」에 투영된 뚜르게녜브(Тургенев)의 「전날밤」
-
임형모;
한성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4,
2020,
pp.129-149)
-
103
-
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Chae Man Sik’s Novel Takryu
-
Park, Chul Woong;
;
(한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,
v.10,
2021,
pp.237-258)
-
104.
- 채만식의 해방 이후 소설 연구
- 김효진
-
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08
-
105.
- 채만식 소설의 서사전통 연계양상 : 「태평천하」,「치숙」,「왕치와 소새와 개미와」를 대상으로
- 방기승
-
목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2p, 2007
-
106.
-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대일 인식의 이중성 연구 : 「여인전기」와 「여자의 일생」을 중심으로
- 이의연
-
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8p., 2003
-
107.
- 채만식 문학연구 : 문학장에서의 궤적을 중심으로
- 배지연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34 p., 2010
-
108.
- 채만식(蔡萬植)의 「금의 정열」연구
- 성낙서
-
대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99 p., 1987
-
109
-
채만식 소설과 미디어 테크놀로지 : 유성기, 토키영화, 『태평천하』를 중심으로
-
서희원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6,
pp.79-110)
-
110
-
일제강점기 촌극의 한 양상 -채만식을 대상으로-
-
김재석;
;
(국어국문학,
v.103,
1990,
pp.231-25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