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583건 중 1,000건 출력
, 11/100 페이지
-
101.
- 朝鮮中期 佛敎界의 변화와 '西山系'의 대두
- 김용태
-
서울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70 p., 1999
-
102.
- 조선중기 사림정치의 공공성 : 이념 구조 변화
- 최우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98 p., 2002
-
103.
- 조선중기 증시(贈諡) 제도의 재편
- 김현지
-
경북대학교대학원, 국내석사,
50, 2020
-
104
-
조선(朝鮮) 전(前)·중기(中期)의 소갈(消渴) 인식에 관한 연구 - 「의방류취(醫方類聚)」 및 「동의보감(東醫寶鑑)」을 중심으로 -
-
조선영;
차웅석;
김남일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18,
2005,
pp.229-244)
-
105
-
조선중기 일상복의 색상연구(I)-16.17세기 출토복식 중심-
-
장인우;
인천대학교 의생활학과;
(服飾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,
v.41,
1998,
pp.49-62)
-
106
-
조선(朝鮮) 통신사(通信使)를 포함한 한(韓).일(日) 관계에서의 음식문화(飮食文化) 교류 -2. 조선중기(朝鮮中期) 한(韓).일(日) 관계에서의 교역물품과 일본사신(日本使臣) 접대-
-
김상보;
장철수;
대전보건대학 전통조리과;
한국정신문화연구원;
(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,
v.13,
1998,
pp.363-381)
-
107
-
朝鮮 中期 『錄勳都監儀軌』와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
-
권혁산,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66,
2010,
pp.63-92)
-
108.
- 조선중기 이후 조선과 중국의 우주론 변천 비교
- 송성란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73p., 2005
-
109.
- 미술교과와 국사교과의 통합수업에 관한 연구 : 조선시대 중기를 중심으로
- 김이슬
-
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23, 2014
-
110
-
조선 중기 절파계 화풍의 형성과 대진(戴進)
-
장진성;
서울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0,
pp.202-2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