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0건 중 180건 출력
, 11/18 페이지
-
101
-
朝鮮通事가 남긴 對馬島의 한글편지에 대하여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2,
pp.219-250)
-
102
-
크리에이티브 담론과 광고 제작자의 정체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: 창의 산업으로서의 논의를 중심으로
-
정승혜;
서울여자대학교;
(방송통신연구,
v.0,
2016,
pp.104-135)
-
103
-
日本에서의 韓語 敎育과 敎材에 대한 槪觀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06,
pp.341-360)
-
104
-
와세다대학 핫토리문고 소장 「조선어역」에 대하여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09,
pp.153-183)
-
105
-
외국어 교재로서의 노걸대(老乞大)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;
(이중언어학,
v.0,
2004,
pp.291-328)
-
106
-
일제강점기 小倉進平의 朝鮮 典籍 수집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49,
2016,
pp.107-143)
-
107
-
국내 광고학 분야의 사례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: 1990년∼2016년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
-
정승혜;
서울여자대학교;
(광고연구,
v.0,
2017,
pp.107-133)
-
108
-
광고 사운드의 이론적 고찰과 문화적 함의 : 배경음악과 아도르노의 이론을 중심으로
-
정승혜;
고려대학교;
(한국광고홍보학보,
v.13,
2011,
pp.414-443)
-
109
-
⟨⟨通文館志⟩⟩와 司譯院 四學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20,
pp.363-403)
-
110
-
물명(物名)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국어사연구,
v.0,
2014,
pp.79-1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