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,172건 중 1,000건 출력
, 11/100 페이지
-
101.
-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급성 자살 위기 증상 분석: 급성 자살 정동 장애(ASAD)와 자살 위기 증후군(SCS)의 비교
- 이윤진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, 87 p., 2020
-
102.
- 한국 자살 담론에 관한 연구
- 박순만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14 p., 2012
-
103
-
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: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
-
육성필;
서종한;
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;
영남대학교 심리학과;
(한국심리학회지 :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. 문화 및 사회문제,
v.29,
2023,
pp.75-99)
-
104
-
청소년 자살 중재연구 동향
-
조헌하;
강정미;
김원순;
고신대학교 간호대학;
한서병원 QI 팀;
창신대학교 간호학과;
(CHNR :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,
v.24,
2018,
pp.393-406)
-
105
-
청소년 자살
-
조인희;
;
(정신건강정책포럼 = Mental health policy forum,
v.6,
2012,
pp.3-31)
-
106
-
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
-
이민아;
김석호;
박재현;
심은정;
중앙대학교 사회학과;
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;
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삼성생명과학연구소;
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;
(한국인구학 =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,
v.33,
2010,
pp.61-84)
-
107
-
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행태 분석
-
김연종;
;
(한국언론학보 =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& communication studies,
v.49,
2005,
pp.140-165, 524)
-
108
-
지역사회 정신 건강 서비스, 자살 전문직 유형에 따른 자살예방행동 준비도
-
박경란;
이경주;
권민;
염미정;
양수;
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;
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;
수원대학교 간호학과;
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;
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;
(韓國保健看護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,
v.29,
2015,
pp.40-52)
-
109
-
자살의 심리학적 측면
-
이귀행;
;
(생물치료정신의학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,
v.10,
2004,
pp.11-14)
-
110
-
특집 - 자살! 위험수위를 넘다 -자살에 대한 생각
-
김정수;
성모정신과의원;
(Health & mission = 헬스앤미션,
v.24,
2011,
pp.6-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