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44건 중 544건 출력
, 11/55 페이지
-
101
-
The Practice of Operation in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: Based on ‘Humanities and Counseling Psychology Practice’
-
Cho, Young ju;
Jun, Jee nee;
;
(교양학연구 =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,
v.15,
2021,
pp.253-283)
-
102
-
인문고전으로서의 한문교육에 대한 管見 -대학 교양교육의 맥락에서-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漢文敎育論集,
v.0,
2017,
pp.25-46)
-
103
-
근대 일본사상과 인문교육의 상관성 연구― 동경대학교와 교양교육
-
엄현섭;
강원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14,
pp.161-182)
-
104
-
포스트모던 시대의 「대중인문 교양교육」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-영화 「시」의 인문학적 성찰을 중심으로-
-
원신애;
;
(기독교교육 논총,
v.0,
2013,
pp.241-266)
-
105
-
미술대학의 인문교양교육 강화 교과과정의 연구 - 미국 미술대학 교육과정 사례 -
-
고은실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2,
pp.1-29)
-
106
-
인문교양 역사서 번역전략 고찰 및 제안: 『사피엔스』의 곁텍스트를 중심으로
-
신미영;
강원대학교;
(통번역교육연구,
v.19,
2021,
pp.67-101)
-
107
-
플립러닝 방식의 인문고전 교육을 위한 동영상 강의 콘텐츠 구성 및 활용 사례 연구 - 고려대학교 교양과목 「인문고전세미나」와 온라인 교육 콘텐츠 ‘고성방가(高省芳歌)’를 중심으로 -
-
김태희;
김정숙;
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;
고려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4,
pp.133-163)
-
108
-
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인문 융·복합 교양영어교육 - 독해 수업을 중심으로 -
-
최정미;
이호선;
부산가톨릭대학교;
부산가톨릭대학교;
(영미어문학,
v.0,
2017,
pp.117-140)
-
109
-
통합인문 교양교육의 스투디움과 파이데이아- 자기주도학습을 중심으로
-
이은정;
경희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2,
2018,
pp.245-266)
-
110
-
탈경계로서의 대학교양교육 - 인문적 성찰을 향한 ⟨고전읽기와 토론⟩ 수업 구성
-
장정아;
윤애선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1,
2017,
pp.421-4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