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30건 중 1,000건 출력
, 11/100 페이지
-
101
-
삼국유사의 한문문체적 일 연구(I)
-
이동근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6,
1998,
pp.243-272)
-
102
-
Writing of Pieun Section in Samgukyusa and Iryeon-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Hermitage and Participation
-
Kim, Soo-tae;
;
(新羅 文化 =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,
v.49,
2017,
pp.153-178)
-
103
-
<삼국사기>와 <삼국유사>에 나타난 설총 관련 기사의 분석
-
남풍현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9,
2001,
pp.43-51)
-
104
-
『삼국유사』 「興法」ㆍ「塔像」篇의 脫神話化전략
-
이강엽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0,
2010,
pp.185-215)
-
105.
- 『삼국유사』 소재 향가 연구와 수업 방안 : 감통편을 중심으로
- 김영주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87 p., 2002
-
106
-
“Dogiya(도기야)” in Yeonorang Seseonyeo(연오랑세오녀)of Samgugyusa(삼국유사)
-
CHEN SOO YEON,;
;
(열상고전연구 = Yeol-sang journal of classical studies,
v.63,
2018,
pp.195-226)
-
107.
- 삼국유사에 나타난 고유명사 연구
- 이미숙
-
경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9 p., 1984
-
108
-
『삼국유사三國遺事』 의해義解의 성격 고찰 - 중국 『고승전高僧傳』과의 비교를 통하여
-
이정훈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2,
2008,
pp.123-144)
-
109
-
A Monk named HyeTong Subdued an Evil Dragon
-
Chang , Hwal-sik;
;
(新羅 文化 =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,
v.52,
2018,
pp.71-104)
-
110
-
『삼국유사』 武王 條와 <薯童謠>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0,
pp.5-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