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84건 중 584건 출력
, 11/59 페이지
-
101
-
루쉰의 〈이혼〉 읽기 ― 근대소설과의 ‘이혼’을 함께 논하다
-
이보경;
강원대학교;
(중국문학,
v.121,
2024,
pp.113-128)
-
102
-
근대 한국의 루쉰 수용과 번역 1-지식생산의 장소성과 중국발(發) 루쉰-
-
;
;
(사이間SAI,
v.0,
2021,
pp.59-94)
-
103
-
루쉰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3— 일본 학자 마스다 와타루增田涉와의 학문적 교류
-
조관희;
상명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20,
pp.191-213)
-
104
-
루쉰의 정신구조-모순의 통일적 주체
-
홍석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4,
pp.141-174)
-
105.
- 루쉰(魯迅)의『야초(野草)』와 나쯔메 소세키(夏目漱石)의 『몽십야(夢十夜)』비교 : 상징을 통한 표현과 ‘꿈’ 속에서의 대화를 중심으로
- 성봉제
-
인제대학교, 국내석사,
64, 2009
-
106.
- 근대성 직면하기: 제임스 조이스와 루쉰의 단편소설 비교 연구
- 왕연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58, 2024
-
107.
-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·중 단편소설 비교 연구 : 현진건과 루쉰 소설의 지식인상을 중심으로
- 포문전첨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4 p., 2016
-
108
-
루쉰에게 있어서 죽음이라는 문제
-
김하림;
조선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21,
pp.1-23)
-
109
-
김광주의 현대 중국문예 비평과 루쉰(魯迅) 소설의 번역
-
홍석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문학,
v.87,
2016,
pp.75-114)
-
110
-
Lu Xun-Writing of Ruins: Focusing on In the Wine Shop
-
Liu , Jingzi;
;
(中國 現代 文學 = The Journal of Modern Chinese Literature,
v.2019,
2019,
pp.1-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