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534건 중 1,000건 출력
, 100/100 페이지
-
991
-
백족의 신화전설 ⟨망부운⟩ 연구 -소수민족정책과의 연관성과 심층함의를 중심으로-
-
양회석;
최진희;
전남대학교;
전남대학교;
(중국문학,
v.53,
2007,
pp.255-273)
-
992
-
북한 지역 녹족부인(鹿足夫人) 전설의 존재양상과 역사적 변동단계에 관한 연구
-
권도경;
상지대학교;
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16,
2008,
pp.135-168)
-
993
-
⟨숙향전⟩의 근원설화 ⟨숙향이굴⟩ 전설 - 두 작품에 나타난 지명과 내용 비교를 중심으로
-
김순재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114,
2022,
pp.195-220)
-
994
-
대왜 항전 설화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-새내 지역과 금산군 서부 지역 전설을 중심으로-
-
강현모;
한남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5,
pp.185-209)
-
995
-
한국 · 일본 저승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사례 연구 : <바리공주의 전설>과 <페르소나4>게임을 중심으로
-
최수영;
이남희;
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;
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;
(한국게임학회 논문지 =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,
v.16,
2016,
pp.45-56)
-
996
-
시칠리아 구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
-
이기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이탈리아어문학,
v.0,
2005,
pp.121-137)
-
997
-
『毎日申報』と『京城日報』の怪談研究 -1927年8月掲載『毎日申報』の怪談をめぐって-
-
나카무라 시즈요;
홍익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5,
pp.127-155)
-
998
-
이기축(李起築) 담론 지형을 통해 본 ⟨이기축의 처⟩ 인물 전설화의 의의와 한계
-
홍나래;
한신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41,
2016,
pp.303-334)
-
999
-
조선총독부 학무국 ‘전설 동화 조사’ 보고서를 활용한 『조선동화집』의 개작 양상 고찰
-
김광식;
동경학예대학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5,
pp.35-64)
-
1000
-
상상 동물 일각수의 변형과 그 의미-전설, 태피스트리, 릴케 시문학을 중심으로
-
안상원;
성균관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4,
pp.201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