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303건 중 1,000건 출력
, 100/100 페이지
-
991.
- 입력 분포 유형과 명시적 규칙 제시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분사 구문 습득에 미치는 영향
- 고은빈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20, 2025
-
992
-
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에 근거한 한국어교육 교수-학습 방안 연구
-
이상린;
영남대학교;
(교육종합연구,
v.10,
2012,
pp.97-122)
-
993
-
한국어 내포 머리어 관계절의 통사적 특성과 습득 연구
-
조수근;
광운대학교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14,
2003,
pp.49-56)
-
994.
- 한국어 피동 습득에서의 형태집중 교육 효과와 언어적성의 영향 :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
- 염수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25 p., 2016
-
995
-
청소년의 언어 사용 연구
-
조보람;
박종호;
청주대학교;
중부대학교;
(에듀테인먼트연구,
v.2,
2020,
pp.17-30)
-
996.
- 自閉兒의 手話習得에 關한 事例硏究
- 서경희
-
대구대학교, 국내석사,
, 1986
-
997.
- 명시적·암시적 연어 지도 방법에 따른 초등 연어 학습 효과 분석
- 정수진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5
-
998
-
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격조사「に」습득에 관한 연구
-
조병현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9,
2011,
pp.503-523)
-
999
-
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고찰
-
김대희;
원광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2,
pp.35-59)
-
1000.
- 고쳐 말하기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습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
- 송창경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173, 20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