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,320건 중 1,000건 출력
, 100/100 페이지
-
991
-
고대 그리스의 서정시에 대하여 -아르킬로코스(Archilochus)를 중심으로-
-
안재원;
서울대학교;
(인간.환경.미래,
v.0,
2009,
pp.171-208)
-
992.
- Hermann Broch의 소설 『베르길의 죽음(Der Tod des Vergil)』에 나타난 서정성
- 유,광열
-
成均館大學校, 국내석사,
218 p., 1996
-
993
-
오영수 소설의 고향의 의미와 그 서정성의 좌표
-
박훈하;
경성대학교;
(인문학논총,
v.14,
2009,
pp.59-76)
-
994
-
새로운 멤논의 노래 - 보들레르의 시학과 황혼의 서정론
-
김지현;
고려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82,
2022,
pp.247-287)
-
995
-
한국 현대 서정시의 시간의 전환과 공간의 확장
-
박미령;
용인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6,
pp.51-78)
-
996
-
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북한 서정시와 문학교육
-
김미혜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9,
pp.175-209)
-
997
-
서정시를 닮은 영화 :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〈거울〉의 시학
-
이윤영;
서울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16,
2006,
pp.83-110)
-
998
-
강소천의 단편 창작동화에 구현된 서정적 구조 양상
-
김경흠;
동아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0,
2014,
pp.1-36)
-
999
-
자아 쓰기와 이야기 쓰기- 중국고전시가에서의 抒情과 敍事
-
김상호;
대전대학교;
(중국문학,
v.101,
2019,
pp.1-24)
-
1000
-
서정시제(시의 현재시제)의 실제와 특성 고찰
-
박현수;
경북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21,
pp.5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