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04건 중 1,000건 출력
, 100/100 페이지
-
991
-
雍正-乾隆年間 莽牛哨 事件과 淸-朝鮮 國境地帶
-
김선민;
고려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1,
pp.69-97)
-
992
-
“동해” 명칭의 중국어 표기 방안 고찰
-
이명희;
명지대학교 강사;
(한국고지도연구,
v.9,
2017,
pp.57-77)
-
993
-
밀양아리랑의 변용과 전승에 관한 연구
-
서정매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5,
2012,
pp.131-166)
-
994
-
三江平原 滾兎嶺·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·豆莫婁·靺鞨의 출현
-
강인욱;
경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107-147)
-
995.
- 1919·20년 식민지 조선의 콜레라 유행과 방역활동
- 백선례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6 p., 2011
-
996
-
淸代 詩文學의 中興과 그 特徵
-
최종세;
;
(慶州 史學 = Kyong-Ju Sa Hak,
v.24,
2006,
pp.201-229)
-
997
-
‘개척’・‘근대’・‘식민’의 중첩적 表象: 근대 시기 營口의 개항, 도시 형성, 식민체계, 삶(1858~1930)
-
윤휘탁;
한경대학교 브라이트 칼리지 교수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1,
2020,
pp.25-66)
-
998.
- 1929~1964년 소련 중앙아시아 고려인사회의 정체성과 홍범도 인식
- 오세호
-
국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54, 2015
-
999
-
靺鞨의 成長과 高句麗의 靺鞨服屬
-
김영천;
고려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2,
2008,
pp.9-38)
-
1000
-
마이너리티로의 변전과 그녀들의 한국전쟁-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‘일본인 처(妻)’의 재현을 중심으로-
-
장세진;
한림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2,
pp.357-394)